경복궁
조선왕조를 연 태조 이성계가 한양으로 도읍을 정하고 가장 먼저 한 일 중의 하나가 경복궁을 만드는 일이었다. 1394년(태조 3) 12월 4일 시작된 이 공사는 이듬해 9월 중요한 전각이 대부분 완공되었다. 궁의 이름은 〈시경 詩經〉에 나오는 왕조의 큰 복을 빈다는 뜻으로 '군자만년개이경복'(君子萬年介爾景福)에서 따왔다. 5대 궁궐 중 가장 먼저 지어졌으나 이곳에 왕들이 머문 기간은 1405년(태종 5) 지어진 일종의 별궁인 창덕궁(昌德宮)에 비해 훨씬 짧다.
세종·문종·단종이 이곳에 주로 기거했으며, 왕자의 난으로 인한 개성천도 기간 동안 빈 궁궐이었다. 왕위를 찬탈한 세조가 경복궁을 기피해 창덕궁에 기거하면서 임금이 살지 않는 궁이 되었다. 1543년(중종 38) 동궁에서 일어난 화재와 1553년(명종 8)에 일어난 내전일곽의 화재로 인해 많은 피해를 입었으나 이듬해 복구되었다. 38년 뒤 임진왜란으로 인해 모든 건물이 불탄 후 270여 년간 폐허상태로 있다가 1865년(고종 2) 대규모 재건공사가 시작되었다.
1868년 고종이 이곳으로 옮겨왔으나, 1876년에 일어난 대규모 화재로 다시 창덕궁으로 옮겼다가 1888년 재차 옮기는 등 여러 차례의 피해와 복구가 거듭되었다. 1904년 이곳에 통감부가 들어섰고 1917년 11월에 일어난 창덕궁의 대규모 화재 뒤 이를 복구하기 위해 1918~20년 원래 있던 건물을 해체했다. 또 이곳에서 나온 건축자재의 방매와 국립중앙박물관이었던 조선총독부 건물의 건립 등으로 본래의 모습을 잃게 되었다.[다음백과]
광화문 월대 에서 '수문장 순라의식'을 진행하고 있습니다.(조선시대 궁궐과 도성 또는 도시 주변 치안 유지를 위해 장교와 군사가 순찰하는 것)*순라-술래
흥례문
흥례문
흥례문(興禮門)은 경복궁의 중문으로 ‘흥례’는 ‘예를 일으킨다’라는 뜻이다. 원래 홍례문의 이름은 ‘홍례문’이었으나 1867년(고종 4) 경복궁을 다시 지을 때 지금의 이름으로 바꾸었다. 흥례문은 일제강점기 때 조선총독부 청사를 지으면서 철거되었다가, 1996년 조선총독부 청사를 철거한 후 2001년에 복원하였다.
흥례문 일곽의 가운데에는 백악산으로부터 흘러 내려온 물, 즉 금천이 흐르고 있는데 그 위로 영제교(永濟橋)라는 다리를 놓았다. 영제교는 세종 대에 붙여진 이름으로 임진왜란 때도 큰 훼손 없이 있었다가 1867년 경복궁을 다시 지을 때 보수하였다. 그러나 일제강점기 때 흥례문과 같이 철거되었다가 2001년에 복원하였다.(홈피)
근정전
근정전(勤政殿)은 경복궁의 정전으로 왕의 즉위식, 신하들의 하례, 외국 사신의 접견, 궁중연회 등 중요한 국가행사를 치르던 곳이다. 근정전의 ‘근정’은 천하의 일을 부지런히 하여 잘 다스리다‘라는 뜻으로, 궁궐 내에서도 가장 규모가 크고 격식을 갖춘 건물로 면적도 가장 넓게 차지하고 있다. 근정전은 2단의 월대 위에 다시 낮은 기단을 두고 그 위로 중층으로 올린 건물로 안에서 보면 층 구분이 없는 통층(通層)이다.
근정전 앞마당, 즉 조정(朝廷)은 다른 궁궐의 정전과 같이 박석이 깔려있고, 중앙에는 삼도(三道)를 두어 궁궐의 격식을 갖추었으며 조정에는 정1품부터 정9품까지의 품계석을 놓았다. 월대의 귀퉁이나 계단 주위 난간 기둥에는 4신상과 12지신상을 포함하여 28수 별자리상 등을 간결하지만 재치있게 조각하였다. 내부 바닥은 전돌을 깔았고, 북쪽 가운데에 왕의 자리인 어좌를 설치하였다. 어좌 뒤에는 왕권을 상징하는 해와 달, 다섯 봉우리의 산이 그려진 ‘일월오봉도’를 놓았고 천장에는 칠조룡을 조각하여 장식하였다. 근정전에서는 정종, 세종, 세조, 중종, 선조가 왕위에 올랐으며, 1985년 국보로 지정되었다.(홈피)
자선당
자선당
왕세자와 왕세자빈이 생활했던 공간인 현대 기준으로 봐서 그럴까요? 생각보다 무척 소박합니다
교태전
교태전(交泰殿)은 강녕전과 함께 왕과 왕비가 일상생활을 하던 침전이자, 왕비의 생활공간이다. ‘교태’는 ‘천지, 음양이 잘 어울려 태평을 이루다’라는 뜻이다. 교태전은 궁궐의 가장 가운데에 위치하고 있어, 왕비의 생활공간이기 때문에 중궁전이라고도 부른다. 교태전은 경복궁 창건 당시에는 없었으나 1440년(세종 22)에 세워진 것으로 추정된다. 강녕전과 마찬가지로 지붕 위에 용마루가 없고 내부 모습은 비슷하나, 건물 앞에 월대는 없다.
생과방 체험(조선 임금과 왕비 등이 드시던 간식과 차 종류를 먹고 마시는 장소인데 예약 필수 입니다)딸이 예약해서 참가 했는데 평소 느낄 수 없는 아주 특별한 체험이었습니다.
자경전 십장생 굴뚝
자경전은 경복궁의 동조(東朝)로서 조선 말기 고종의 양모(養母) 조대비가 거처했던 곳이다. 건물 북쪽 담장 쪽에 해·소나무·바위 등 여러 가지 문양이 새겨진 약 한 자 두께로 돌출된 평면이 있는데, 이것이 이른바 십장생 굴뚝이다. 일반적인 굴뚝 모양과 다른 것은 자경전 각 방에서 나오는 연도(煙道)를 모아 담장에 가지런히 붙여 세우고 벽돌쌓기와 회벽으로 마감했기 때문이다.
평면 위에 마련된 장방형 화면 속에 해·산·바위·물·구름·소나무·불로초·거북이·사슴·학 등 십장생을 비롯해서 연꽃·대나무·포도 등의 식물이 그려져 있다. 화면 바깥 위쪽 가운데에 귀면상이 있고, 그 좌우에 영지를 입에 문 학이 장식돼 있다. 아래쪽에는 불가사리로 알려진 동물이 사각 틀 속에 조각되어 있다. 다양한 문양으로 장식된 자경전 굴뚝은 하나의 환경 미술작품이라 해도 좋을 아름다운 굴뚝이다.
자경전 꽃담은 조선시대 대표적 꽃담입니다 .붉은 전돌과 흰 화장줄 눈으로 여러 길상 문자를 구성,사이사이 삼화토로 네모바탕을 만들어 그 안에 꽃,대나무 등을 전돌을이용하여 꾸며 놓았습니다.
아미산 굴
아미산(峨嵋山)이라는 왕비를 위한 후원을 조성하였다. 이곳은 계단식 화단과 땅 밑으로 연기 길을 내어 후원으로 연결된 굴뚝이 아름답다. 굴뚝은 4개가 있는데 6각형의 모양으로 사군자, 십장생 등의 무늬를 새겨 악귀를 막고 장수를 기원하는 의미를 담았다. 아미산 굴뚝은 1985년 보물로 지정되었다.
무슨 문일까? 무척 궁금 했는데 궁궐 나인들이 뒤꼍으로 다니는 이동 통로인 듯 합니다. 건물 앞과 뒤가 뚫려 있더군요 .
경회루
외국 사신의 접대와 연회를 베풀던 곳으로 현재의 건물은 1867년(고종 4) 다시 지은 것입니다.
수정전
수정전(修政殿)의 ‘수정’은 ‘정치를 잘 수행하다’라는 뜻으로, 고종 대 편전으로 사용했던 건물이다. 경복궁 창건 당시에는 없었으나 고종 대 경복궁을 다시 지을 때 지은 건물이다. 1894년(고종 31) 갑오개혁 때 군국기무처가 들어섰고, 이후 의정부(議政府)가 내각(內閣)으로 바뀌면서 내각의 청사로 사용되었다.
특히 조선 초기 수정전 일대에는 세종 대에 훈민정음 창제의 산실인 집현전이 있었다. 수정전은 2012년 보물로 지정되었다.
'◈*국내여행*◈'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장흥 신풍갈대습지-선사문화유적공원 (0) | 2025.05.07 |
---|---|
마포나루 (1) | 2025.04.26 |
종묘 정전 환안제-'환'(還), '안'(安·), '제'(祭) (0) | 2025.04.26 |
조계사와 인사동 거리 (0) | 2025.04.26 |
창경궁 (야간궁궐투어) (0) | 2025.04.23 |